보험 해약환급금 비교표 보장성 보험 환급 차이 정리

보험을 중도에 해지하면 돌려받을 수 있는 해약환급금이 상품 유형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특히 보장성보험저축성보험은 환급률과 지급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계약 해지 전 반드시 확인해야 손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 해약환급금이란?


해약환급금은 보험 계약을 중도에 해지할 때 보험사가 납입보험료 중 일부를 돌려주는 금액을 말합니다. 단, 납입기간이 짧거나 사업비·위험보험료가 많이 공제되는 상품일수록 환급금이 적거나 아예 없을 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해약환급금은 다음의 산식으로 계산됩니다.


해약환급금 = 납입보험료 총액 − (사업비 + 위험보험료) + 운용수익 − 해약공제액


즉, 납입한 보험료 전액이 아닌 일부만 돌려받는 구조입니다. 따라서 계약 전 상품 유형별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보험 유형별 해약환급금 비교표


아래 표는 대표적인 보험 유형별 환급률, 특징, 해약 시 손익 차이를 비교한 표입니다.


구분 저축성보험 보장성보험 무해지형 보험
주 목적 저축·목돈 마련 중심 질병·사망 등 보장 중심 보장 중심(해약환급금 낮음)
납입보험료 구성 저축금 + 이자 보장위험금 + 사업비 보장위험금 비중 높음
해약환급률 60~100% 이상 20~80% (납입기간에 따라 다름) 0~30% (일부 상품 0원)
해약 시점 일정 납입기간 후 환급률 상승 가입 초반 해약 시 손실 큼 중도해지 시 대부분 환급 없음
해약환급금 산정기준 적립금 + 운용이익 위험보험료 공제 후 잔액 위험보험료 중심 상품 구조
적합 대상 목돈을 일정 기간 예치하려는 고객 질병·상해 보장을 원하는 고객 보험료를 낮추고 보장만 유지하려는 고객


✅ 예시로 보는 해약환급금 차이


예를 들어 월 10만 원씩 10년간 납입한 경우를 가정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상품유형 납입총액 10년차 해약 시 환급액 환급률
저축성보험 1,200만 원 1,150만 원 약 96%
보장성보험 1,200만 원 700만 원 약 58%
무해지형보험 1,200만 원 100만 원 이하 또는 0원 10% 이하

즉, 저축성은 납입금의 대부분을 돌려받을 수 있지만, 보장성·무해지형 보험은 해약 시 손실이 클 수 있습니다.



✅ 해약 전 반드시 확인할 3가지


  • 환급률표 확인: 보험증권 또는 약관에서 ‘경과기간별 해약환급률’을 꼭 확인하세요.
  • 무해지형 여부: 보험료가 낮다고 해서 해약환급금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무해지형은 중도해지 시 환급금이 없을 수 있습니다.
  • 대체상품 상담: 해지 전 다른 상품으로 전환(전환계약) 가능한지 보험사 상담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해약환급금은 자동입금되나요?
→ 아닙니다. 해지 신청 후 보험사에서 심사 후 3~7영업일 내 계좌로 지급됩니다.


Q2. 환급금이 0원인 이유는?
→ 무해지형 또는 납입 초기에 해지할 경우 사업비·위험보험료 공제 후 남는 금액이 없기 때문입니다.


Q3. 보장성보험을 유지하면서 해약환급금을 받을 수 있나요?
→ 불가능합니다. 보장을 유지하려면 계약을 유지해야 하며, 일부 특약만 해지 가능할 수 있습니다.


Q4. 해약 대신 납입중지나 감액 납입은 가능한가요?
→ 가능합니다. 일정기간 보험료 납입을 멈추거나 감액 납입으로 변경하여 유지할 수 있습니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