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랜서 경비처리 A to Z 필요경비율 vs 실제경비, 증빙수집, 부가세/종소세 일정 & 간편장부 팁

프리랜서 경비처리·세금잡는법

필요경비율 vs 실제경비 선택, 증빙 수집 기준, 부가가치세·종합소득세 신고 일정, 간편장부 작성 팁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업종·연도에 따라 세법이 달라질 수 있어 신고 전 국세청 안내를 반드시 확인하세요.




홈택스 신고하기




빠른 체크(핵심 포인트)



  • 소득구분: 프리랜서는 통상 사업소득(3.3% 원천징수)으로 신고. 사업자등록·면세/과세 여부 확인.
  • 필요경비 선택: 단순경비율(간편) vs 실제경비(증빙 기반) 중 유리한 방식 선택.
  • 증빙원칙: 세금계산서/계산서, 카드전표, 현금영수증, 이체내역 등 객관증빙 필수.
  • 신고일정: 부가세(개인사업자) 반기 신고, 종합소득세는 5월 정기 신고(연 1회).


필요경비 처리 방식 비교



방식 장점 단점 적합한 경우
단순경비율 간편, 증빙부담 낮음 실제 비용이 많아도 인정 한계 소규모·비용 적은 업종
실제경비 실지지출만큼 폭넓게 인정 증빙·장부 필요, 관리비용 지출 규모 큰 프로젝트/업종


홈택스 바로가기




자주 쓰는 경비 항목 & 인정 요건



항목 인정 포인트 주의사항
업무용 임차료 임대차계약서·이체내역 주거겸용은 업무 사용비율만 인정
통신·클라우드 요금명세서·카드전표 가정용·개인용 분리
장비·소프트웨어 세금계산서·자산 관리 고가장비는 감가상각 검토
여비·교통 출장일정·영수증 개인용 차량은 업무 관련분
교육·도서·구독 수강증·영수증 직무관련성 입증
접대비 거래처, 금액기준 준수 개인 친목·사적 비용 불인정


부가세·종소세 일정 & 간편장부 요령



  1. 부가가치세(과세사업자): 반기별 신고(통상 1~6월분은 7월, 7~12월분은 다음해 1월). 면세·간이과세 등은 예외.
  2. 종합소득세: 매년 소득 귀속연도 다음해 5월 정기 신고(필요시 중간예납·성실신고 대상 확인).
  3. 간편장부: 소규모 사업자는 간편장부 허용, 업종별 수입금액 기준 초과 시 복식부기 의무.
  4. 원천징수: 프리랜서 대가 지급 시 통상 3.3%(소득세 3%+지방세 0.3%) 원천징수 → 지급명세서 확인.


👉경제활동 지원 한눈에 보기




자주 묻는 질문



단순경비율과 실제경비 중 무엇이 유리한가요?
실제 지출이 큰 업종·프로젝트는 실제경비가, 소규모·증빙이 어려운 경우는 단순경비율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사무실·차량을 겸용하면 어떻게 처리하나요?
업무 사용 비율만 경비로 인정됩니다. 사용기록·면적비율 등 합리적 기준을 보관하세요.
카드·현금영수증만 있으면 되나요?
가능한 한 세금계산서/계산서공식 증빙을 확보하세요. 거래 상대·목적이 드러나는 자료를 함께 보관하면 안전합니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