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랜서 경비처리·세금잡는법
필요경비율 vs 실제경비 선택, 증빙 수집 기준, 부가가치세·종합소득세 신고 일정, 간편장부 작성 팁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업종·연도에 따라 세법이 달라질 수 있어 신고 전 국세청 안내를 반드시 확인하세요.
빠른 체크(핵심 포인트)
- 소득구분: 프리랜서는 통상 사업소득(3.3% 원천징수)으로 신고. 사업자등록·면세/과세 여부 확인.
- 필요경비 선택: 단순경비율(간편) vs 실제경비(증빙 기반) 중 유리한 방식 선택.
- 증빙원칙: 세금계산서/계산서, 카드전표, 현금영수증, 이체내역 등 객관증빙 필수.
- 신고일정: 부가세(개인사업자) 반기 신고, 종합소득세는 5월 정기 신고(연 1회).
필요경비 처리 방식 비교
방식 | 장점 | 단점 | 적합한 경우 |
---|---|---|---|
단순경비율 | 간편, 증빙부담 낮음 | 실제 비용이 많아도 인정 한계 | 소규모·비용 적은 업종 |
실제경비 | 실지지출만큼 폭넓게 인정 | 증빙·장부 필요, 관리비용 | 지출 규모 큰 프로젝트/업종 |
자주 쓰는 경비 항목 & 인정 요건
항목 | 인정 포인트 | 주의사항 |
---|---|---|
업무용 임차료 | 임대차계약서·이체내역 | 주거겸용은 업무 사용비율만 인정 |
통신·클라우드 | 요금명세서·카드전표 | 가정용·개인용 분리 |
장비·소프트웨어 | 세금계산서·자산 관리 | 고가장비는 감가상각 검토 |
여비·교통 | 출장일정·영수증 | 개인용 차량은 업무 관련분만 |
교육·도서·구독 | 수강증·영수증 | 직무관련성 입증 |
접대비 | 거래처, 금액기준 준수 | 개인 친목·사적 비용 불인정 |
부가세·종소세 일정 & 간편장부 요령
- 부가가치세(과세사업자): 반기별 신고(통상 1~6월분은 7월, 7~12월분은 다음해 1월). 면세·간이과세 등은 예외.
- 종합소득세: 매년 소득 귀속연도 다음해 5월 정기 신고(필요시 중간예납·성실신고 대상 확인).
- 간편장부: 소규모 사업자는 간편장부 허용, 업종별 수입금액 기준 초과 시 복식부기 의무.
- 원천징수: 프리랜서 대가 지급 시 통상 3.3%(소득세 3%+지방세 0.3%) 원천징수 → 지급명세서 확인.
자주 묻는 질문
단순경비율과 실제경비 중 무엇이 유리한가요?
실제 지출이 큰 업종·프로젝트는 실제경비가, 소규모·증빙이 어려운 경우는 단순경비율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사무실·차량을 겸용하면 어떻게 처리하나요?
업무 사용 비율만 경비로 인정됩니다. 사용기록·면적비율 등 합리적 기준을 보관하세요.
카드·현금영수증만 있으면 되나요?
가능한 한 세금계산서/계산서 등 공식 증빙을 확보하세요. 거래 상대·목적이 드러나는 자료를 함께 보관하면 안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