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장려금(EITC) 추가지급은 반기지급 후 정기 정산에서 산정액이 증가했을 때 차액이 더 입금되는 것을 말합니다. 국세청 홈택스/손택스에서 결정금액·추가지급액·지급예정일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미수령 국세 환급금도 함께 조회할 수 있습니다.
✅ ‘추가지급’이 발생하는 경우
- 반기지급(상·하반기) 후 연간 산정액을 다시 계산했더니, 기지급액 < 최종 결정액일 때 차액 추가지급
- 정기 심사에서 소득·재산 반영 결과가 유리하게 확정된 경우
- 미사용 환급(계좌오류·반송 등) 재지급 처리
손택스 결정화면에는 결정금액·반기 기지급액·환수(차감)·환급금액이 표기됩니다. 반기지급분을 차감해 6~8월 말(연도별 고지) 지급 예정 문구가 표시됩니다. 0
✅ 추가지급·지급일 확인 3단계 (손택스/홈택스)
- 로그인 – 홈택스 또는 손택스(공동·간편인증)
- 경로 – 장려금·연말정산·전자기부금 → 근로·자녀장려금(정기/반기) → 심사진행상황 조회
- 확인 항목 – 결정금액, 반기 기지급액, 추가지급/환수, 지급(예정)일 및 수령계좌
심사진행 경로 및 ‘심사·지급’ 처리 흐름은 국세청 안내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1
✅ 놓친 환급까지 한번에: 국세 ‘미수령 환급금’ 조회
근로장려금과 별개로, 본인 명의로 남아 있는 국세 미수령 환급금(종소세·부가세 등)이 있는지 손택스에서 즉시 조회할 수 있습니다.
- 손택스 경로: 국세환급금 찾기 → 주민(사업자)번호·성명 입력 → 조회 → 환급계좌 등록/지급요청
- 보관기간: 환급결정일 기준 최근 5년 이내 건만 조회·지급(경과 시 국고귀속)
손택스 ‘국세환급금찾기’ 화면 안내에 5년 보관·국고귀속 규정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2
✅ 화면에서 보게 되는 항목 이해하기
표시 항목 | 의미 | 추가지급/환수 시 해석 |
---|---|---|
① 결정금액 | 해당 연도 최종 산정된 장려금 | ① − ② − ③ = ④ 환급금액 (양수면 추가지급, 음수면 환수) |
② 반기 기지급액 | 이미 지급된 반기분 합계 | |
③ 환수(차감)액 | 과지급 또는 불성실·노쇼 등 차감 | |
④ 환급(지급)금액 | 실지급(추가지급) 또는 0/환수 |
해당 구조는 손택스 ‘결정내용’ 테이블에 동일하게 제공됩니다. 3
✅ 자격·최대지급액(요약)
- 총소득기준(예시): 단독 2,200만원 미만 / 홑벌이 3,200만원 미만 / 맞벌이 4,400만원 미만
- 최대지급액(예시): 단독 165만원 / 홑벌이 285만원 / 맞벌이 330만원
구체 기준·최댓값은 국세청 근로장려금 안내를 참조하세요. 4
✅ 자주 묻는 질문(FAQ)
Q1. ‘추가지급’과 ‘환급금’은 무엇이 다른가요?
→ 추가지급은 장려금 정산에서 발생한 차액이고, 국세 환급금은 종소세·부가세 등 세금 과오납 환급을 말합니다. 손택스에서 각각 심사진행과 국세환급금 찾기로 따로 확인합니다. 5
Q2. 지급일은 어디서 보나요?
→ 손택스 심사진행상황 화면에 지급예정일/계좌·현금지급일이 표시됩니다. 6
Q3. 정산 결과 ‘환수’가 뜨면 어떻게 되나요?
→ 결정금액보다 기지급액이 많으면 환수(차감)가 잡힙니다. 고지에 따라 납부하거나 상계 처리됩니다. (심사·지급 안내 참조) 7
Q4. 홈택스에서는 어디서 찾나요?
→ 장려금·연말정산·전자기부금 → 근로·자녀장려금(정기/반기) → 심사진행상황 조회 및 조회/발급 → 국세환급 → 국세환급금 찾기 순입니다.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