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저축·IRP 세액공제 최대화
연금저축·IRP 세액공제 공제한도, 절세구간, 납입전략, 그리고 중도인출 시 주의사항까지 정리했습니다. 세법은 매년 개정 가능성이 있으니 최신 국세청 안내를 반드시 확인하세요.
빠른 체크(공제 구조)
- 연금저축: 연간 납입 400만원까지 세액공제 가능.
- IRP: 연금저축과 합산해 700만원(퇴직연금 포함 시 최대 900만원)까지 공제.
- 절세구간: 총급여 5500만원 이하(15%), 초과~1.2억원 이하(12%).
- 중도인출: 퇴직·사망·해외이주 사유 외 해지 시 기타소득세(16.5%) 부과.
연금저축 vs IRP 핵심 차이
구분 | 납입한도 | 세액공제율 | 운용자산 | 특징 |
---|---|---|---|---|
연금저축 | 연 400만원 | 12~15% | 펀드, 보험, 신탁 | 자유납입 가능 |
IRP | 연 700만원(연금저축 포함) | 12~15% | 예금, 펀드, ETF 등 | 의무 30% 안전자산 편입 |
절세 전략 & 주의사항
- 소득구간별 전략: 총급여 5500만원 이하 → 최대한도 납입 권장.
- 연금저축+IRP 조합: 두 상품 합산 700만원 납입 시 공제 극대화.
- 중도해지 리스크: 세제혜택 환수 + 기타소득세 부과(16.5%).
세액공제 계산 요령
- 연금저축·IRP 납입액 합산 → 세액공제 한도(700만원) 체크.
- 총급여 5500만원 이하: 15% 세액공제, 초과~1.2억원 이하: 12% 적용.
- 홈택스 세액공제 계산기에서 본인 조건 입력 후 절세액 확인.
자주 묻는 질문
세액공제율은 몇 % 인가요?
총급여 5500만원 이하 15%, 5500만원 초과~1.2억원 이하 12%입니다.
연금저축과 IRP는 합산되나요?
네, 합산 700만원까지 세액공제가 적용됩니다.
중도해지하면 어떻게 되나요?
퇴직, 사망, 해외이주 사유 외 해지 시 기타소득세 16.5%가 부과되고 세제혜택이 환수됩니다.